컬러 매니지먼트
(Color Management)의 기본 순성와 원리
컬러 매칭 포인트는 컴퓨터에게 인쇄할 종이를 확실하게 알려주는 것이다
첫 단계는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색을
모니터에 올바르게 표시할 수 있도록 화면의 밝기와 색온도, 감마 등을 조정하는 것이다.
둘째 단계는 소프트웨어의 색상 설정을 인쇄
영도에 맞게 변경 하는 것이다.
셋째 단계는 인쇄할 용지에 맞는 CMYK에서
작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모조지에 인쇄를 한가면 그 문서에는 uncoated CMYK를 사용해야 하고, 아트지에 인쇄를 한다면 그 문서에는 coated CMYK를 사용해야 한다.
넷째 단계는 교정용 인쇄나 CTP 출력에 사용할 PDF를 인쇄규격에 맞게 만드는 것이다.
다섯째 단계는 출력소에서 보내 준 검판용 PDF를 원본 문서와 비교하면서 이상이 없는지 꼼꼼하게 체크하는 것이다.
여섯째 단계에서 중요한 일은 문서에서 설정한 인쇄용지에 정확한 농도로 인쇄를 하는 것이다.
일곱째 단계는 프린트의 상태를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는 조명 아래에서 색상을 확인하는
것이다.
인쇄용지에 맞는 CMYK선택 기준
출판 편집에서는 주로 코팅지와 비코팅지를 많이 사용한다. 인쇄용 색상인 CMYK도 이에 맞춰
코팅용과 비코팅용, 신문지용 CMYK가 각각
별도로 존재한다.
- 코팅지/ 도공지(coated paper) : 원지에
화학약품과 미세한 돌가루등을 코팅한 후 종이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수퍼캘린더 처리)한 인쇄용지로 종이 표면이 사진 인화지처럼 매끄럽고 인쇄시 망점과 색상재현이 뛰어나며 인쇄품질이 우수하다. 종이 표면에 코팅처리가 되어 있어 광택이 나며 표지나 포스터, 카탈로그 등에 주로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아트지’와 ‘스노우지’가 있다
- 비코팅지/비도공지(uncoated paper) :
코팅 과정을 거치지 않은 종이로 색상재현이나 인쇄 품질은 도공지에 비해 다소 떨어지지만 종이의 촉감이 부드럽고 자연스럽다는 장점이 있다.
종이 표면에 코팅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 광택이 없으며 주로 도서 본문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백색모조’와 ‘미색모조’가 있다
- 신문지 (newspaper) : 신문 발행을 위한
윤전용 두루마리 용지와 학교 시험지나 전화번호부등에 사용되는 종이(일명 갱지)로 구분된다.
- 러프글로스지 (Rough Gloss paper) :
아트지나 스노우지 처럼 종이표면에는 코팅 처리가 되어 있지만, 광택 처리(슈퍼캘린더 처리)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모조지처럼 광택(gloss)이 나지 않는 즉 러프한 느낌의 무광택 용지다.
인쇄품질은 아트지와 대등하며 종이 본연의 자연스러운 색상과 감촉을 지니고 있다.
대표적으로 ‘고급화보집’이나 ‘예술작품집’
‘초대장’같은 고급 인쇄물에 애용된다.
-MFC (Machine Finished Coated) :
원지(백상지) 표면에 소량의 코팅 처리를 한
종이로 은머신코드, 미량코트, 미도공지 등으로
불린다. 코팅덕분에 스노우지처럼 약간의 광택이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특성은 모조지와 같다.
대표적으로 ‘실용서’나 ‘교과서’ 또는 ‘잡지’등에 많이 사용된다.
-하이벌크 (High-bulk paper) : 같은 평량의 모조지나 서적지 보다 무게는 가벼우면서도 종이 두께는 비슷하게 나올 수 있도록 종이의 부피감(볼륨감)을 극대화한 종이다.
대표적으로 ‘서적의 본문용지’로 많이 이용된다.
인쇄물 작업에서 ‘시험 인쇄’가
표준 설정인 이유
‘시험 인쇄’라는 말은 ‘테스트용 인쇄’라는 뜻이 아니다
영문판 프리셋 메뉴에서 이 부분을 찾아보면 예상과 달리 test 라는 단어 대신 pre라는 단어를 만나게 된다.
pre -는 [미리, ~이전의, ~의 앞부분에 있는]등의
뜻을 가진 접두어이므로 시험이라는 단어는 사실상
오역인 셈이다
시험 인쇄로 번역되는 Prepress의 유래와 의미
prepress는 인쇄제적을 위한 3단계 과정 중 첫째
단계를 가르키는 인쇄용어로, DTP~CTP(데이터 편집~최종 인쇄를 위한 출력) 까지 발생하는 모든 과정과 절차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Preress(시험 인쇄)가 인쇄물 작업시 표준 프리셋인 이유
‘프리프레스’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프리셋(사전설정)에는 인쇄물 작업시 편집에서 인쇄판을 만들 때까지 기준으로 사용하는 주요 사항이 모두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구체적으로 최적의 인쇄색상을 위해 RGB를 어떠한 CMYK로 변경할지에 대한 설정에서
부터 어떠한 타입의 인쇄기에서 무슨용지를 사용해
인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Prepress 설정은 실제 Press조건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러한 조건이 갖춰져야 비로소 모니터에서 본 색상과 인쇄물의 색상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인쇄에 관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느낌이 살아 있는 멋진 흑백 사진 만들기 (0) | 2022.04.14 |
---|---|
주요 CMYK 프로파일의 용도 (0) | 2022.04.07 |
RGB 공간의 사용 용도 (0) | 2022.04.06 |
색상 설정에 있는 프리셋의 역할과 용도 (0) | 2022.04.03 |
인쇄 색상에 대한 잘못된 상식 (0) | 2022.03.31 |
댓글